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72)
[비트코인 라이트닝 노드 운영기] 마그마를 통한 인바운드 채널 판매 라이트닝 노드 운영기입니다. 갖고 있는 비트코인을 갖고 어떻게하면 수익을 낼 수 있을까? 내가 갖고있는것으로 인바운드 채널을 열어줌으로써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라이트닝 노드를 처음 운영하게되면 인바운드 채널(수신채널)이 필요합니다. 이걸 직접 비트코인 옮기고 채널 열고, 리밸런싱하면 인바운드 채널을 만들수 있는데, 이것도 사실 비용이 좀 듭니다. 개인지갑용으로 쓰려고 하는데, 비용만 드는 경우일 수 있죠. 차라리 이런 경우엔 인바운드 채널 좀 사는게 낫습니다. 아무튼 이러한 인바운드 채널을 구매하려는 니즈가 분명 있고, 저는 그 니즈를 가진 사람들에게 판매를 하면 됩니다. 어디서 팔 수 있느냐? 마그마(magma)라는 인바운드 채널 판매 시장이 있는데요, 여기에서 나는 수수료 ..
마그마(magma)를 통해 라이트닝네트워크 인바운드 채널 구매하기 처음 라이트닝 노드를 만들면 라이트닝 노드를 통해 비트코인을 받을 수가 없다. 비트코인을 받을 수 있도록 인바운드채널이 있어야합니다. 참고: 인바운드 (수신 채널, 내 노드가 비트코인을 받기 위한 채널), 아웃바인드 (송신 채널, 내 노드가 비트코인을 보내기 위한 채널) 인바운드 채널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자기가 직접 채널을 연다. 그러면 아웃바운드가 생깁니다. 그리고, 리밸런싱을 한다. 1번 방법이 정석이지만, 처음하면 생소할 수 있습니다. 2. 자기가 직접 월오사 지갑과 채널을 연다. 월오사 지갑으로 사토시를 보낸다. 2번 방법을 하면 내가 월오사에 사토시를 보낸만큼 비트코인을 받으실 수 있게됩니다. 3. 마그마를 통해 인바운드 채널을 산다. 원하는 개수 만큼, 원하는 기..
비트코인 선물거래 전략 롱-숏 페어 트레이딩 거래소에서 선물 거래를 할 때 펀딩 비율이나 시간이 다르다는 점을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회를 활용하는 전략은 "펀딩 애로비"라고도 불립니다. 펀딩 비율은 보통 해당 자산의 시장 가격이 지수 기반 가격으로부터 얼마나 멀어졌는지를 반영합니다. 따라서 시장 가격이 지수 기반 가격보다 높을 때, 롱 포지션을 가진 거래자들이 숏 포지션 거래자들에게 펀딩을 지급합니다. 그 반대의 경우, 숏 포지션을 가진 거래자들이 롱 포지션 거래자들에게 펀딩을 지급합니다. 펀딩 애로비를 활용한 거래 전략 중 하나는 "펀딩 거래 전략"입니다. 이 전략은 선물 거래에서 펀딩 지불을 받거나 지불하는 거래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입니다. 여러가지 있지만 롱-솟 페어 트레이딩이 이해하기 쉬..
비트코인 라이트닝 노드 운영으로 수익 내기 가능? (3개월 후기) 라이트닝 노드 운영한지 3개월쯤됐네요. 제 경험을 적는거다보니깐 틀린 사실일수도 있습니다. 라이트닝 노드를 운영하게 된 이유는 2가지 입니다. 1. 내가 갖고있는 비트코인으로 수익을 낼수있는지가 궁금했습니다. 2. 라이트닝 네트워크 활용한 서비스 만들고 싶었습니다. 직접 서버를 구매해서 하는 방법과 aws로 하는 방법, 그리고 노드 운영 서비스들이 있는데 저는 그중에서 voltage를 선택했습니다. 하드웨어 서버하는거보다 매달 돈내는게 낫겠다싶더라고요. 아무튼 여러 노드들이랑 채널도 연결하고, 리밸런싱도 해보면서 제 노드가 1576등 ㅋㅋㅋㅋ, 그리고 나름 건강하다고 합니다. https://amboss.space/node/036c8fbba9154d81ba4111a5fd6eeb438ec7812aa9ace0..
비트코인 라이트닝네트워크 수수료 비트코인 라이트닝네트워크 노드를 운영하면서 알게된 수수료 용어에 대해 정리해본다. Base Fee(기본 수수료): 이것은 거래가 이루어질 때마다 상대방에게 지불하는 기본 수수료입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노드는 기본 수수료를 설정하여 거래를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본 수수료는 노드의 설정과 해당 거래의 중요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습니다. Fee Rate(수수료 비율): 이것은 거래 금액에 대한 일정 비율로 계산되는 추가 수수료입니다. 일반적으로 거래 금액이 클수록 더 많은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CLTV Delta가 144라는 것은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시간 잠금(Time Lock)의 기간을 나타낸다. CLTV Delta 값이 144라면 해당 트랜잭션이 생성된 블록을 기준으로 약..
비트코인 라이트닝 노드 리밸런싱 (rebalancing) 의 필요성, 의미, 방법 라이트닝 리밸런싱의 의미부터 설명하면 내 노드가 받을수있는 비트코인과 보낼수 있는 비트코인의 비율을 정하는 것이다. 처음 채널들을 오픈하면 아래처럼 outbound (파란색)이 많다. 파란색의 아웃바인드의 의미는 내가 다른채널로 보낼수 있는 사토시 개수를 의미한다. 초록색의 인바운드가 별로없는데, 이렇게 별로 없으면 내가 다른채널로부터 사토시를 받을 수 없다. 아래 사진은 내가 리밸런싱하기전에 사진이다. 파란색이 많은것을 볼수있다. 내가 남한테 보낼수있는건 많지만, 받을수있는것은 적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리밸런싱을 통해서 비율을 적당히 반반 나눠놓아야 하며, 이렇게 사토시가 나눠지면 내 노드는 라우팅 노드로 적절히 사용될, 채택될 확률이 올라간다. 아래 사진을 보면 리밸런싱이 된 상태이다. 보면 위에 샌..
라이트닝 노드 리밸런싱 # 시도 1 thunderhub 내가 채널 연것들이다. 보면 local balance와 remote balance가 있다. 이건 thunderhub라는것으로 볼수 있다. 보면 local balance (파랑)만 많고, remote (초록)은 별로없는것을 볼 수 있다. local이 높으면 내가 그 채널로 보낼수있는 비트코인이 많다는 의미이며, remote는 내가 그채널로부터 받을수 있는 비트코인을 말한다. 이걸 적당히 반반 해놔야, 내가 라우팅노드로써 쓰일수 있게 된다. 썬더허브르 통해 리밸런싱을 해보는데 outgoing과 incoming을 선택해줘야한다. max fee와 rate도 정해줘야하는데, 이거 리밸런싱하때 수수료를 얼마나 할지 정하는것으로 보인다. 해봤는데 일단 실패했다.. ㅜㅜ
2023년에 NFT 투자를 돌아본다. NFT의 가치는 어디서 오는가? 욕밖에 안나온다. 22년에 NFT에 한창 투자했었다. 투자한 금액으로만 해도 차값 정도는 될건데.. 이제 좀 처분해보려보니 너무 이것저것에 투자했었고, 지금보니 이게 가격이 많이 떨어졌다. 거기다 각종 체인에서 샀다보니 이게 어디있는건지 찾기도 쉽지 않다. ㅋㅋ 당시 이렇게 투자할수있었던 이유는 일부 자산분배 개념으로 NFT 투자를 조금씩 했었다. 당시 스플린트랜드로만 1천, 2천 벌었고, 갓즈언체인드 gods, imx 에어드랍 받은걸로만 2천,3천 벌었을때였으니깐 괜찮은 프로젝트라면 충분히 투자해볼만하다고 생각했다. NFT로 돈도 벌어보고 많이 투자해보기도 했으니.. 혹시나 또 투자할 일이 있다면 참고하면 좋겠다. NFT는 약간 부동산 같은 느낌이다. 주식이나 일반 코인과는 다르다. 각각 하나마다 비슷하지만 가격이 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