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ETF가 핫합니다. S&P500, 미국 나스닥 100, 미국배당다이존스 종류가 많죠.
일반 계좌에서 아래 사진처럼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 거래하여 발생한 매매차익은 배당소득으로 간주됩니다. 배당소득으로 간주되면 매도할때 매매차익에 대하여 15.4%에 수수료를 원천징수합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예시) S&P 500 1000만원 매수
김씨는 국내 증권사 계좌에서 국내 상장된 미국 S&P 500 ETF를 1000만원어치 매수했습니다. 이후 ETF 가격이 올라 1200만원에 매도하면서 매매차익 200만원이 발생했습니다. 이 때 실제로 계좌로 받은 매매차익은 얼마일까요? 바로 169만원입니다.
1. 매매차익 계산
김씨는 ETF를 1,000만 원에 매수했고, 1,200만 원에 매도했습니다.
따라서 매매차익은 1,200만 원 - 1,000만 원 = 200만 원입니다.
2. 세율 적용
국내 상장 해외 ETF 매매차익은 배당소득으로 간주되므로 15.4%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3. 원천징수액 계산
200만 원 × 15.4% = 30만 8천 원
4. 결과
김씨는 매도 시 발생한 매매차익 200만 원에 대해 세금 30만 8천 원이 원천징수됩니다.
따라서 김씨가 실제로 수령하는 매매차익은 200만 원 - 30만 8천 원 = 169만 2천 원입니다.
일반 계좌에서 국내 상장 해외 ETF 매매 차익이 2000만원 이상이 된다면 금융소득종합과세에 해당하여 종합소득세가 늘어납니다. 이 세금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바로 ISA 계좌 혹은 연금계좌에서 ETF를 사면 됩니다. 저는 ISA에서 사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절세 방법
ISA 계좌를 만들어서 여기서 ETF를 매매하면 매매차익을 원천징수하지 않습니다. 추가로 배당금에 대한 세금도 원천징수하지 않습니다. ISA에 대한 글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https://yanabu.tistory.com/186
실천
저도 ISA 계좌를 만들었습니다. 세금 내는것을 최대한 줄여보려고요.
ISA 계좌로 살만한 것을 알려드립니다.
1. 국내 상장한 해외 ETF: 매매차익의 원천징수 세금 아낄 수 있음, 배당금 받을 때 세금 아낄 수 있음
2. 국내 배당주 주식: 배당금 받을 때 세금 아낄 수 있음
다만 단점으로 3년간 빼지 않아야 세금혜택을 보는 것입니다. 중간에 뺄 수 있으나, 혜택만 못받는것이니 당장 투자할거아니여도 미리 만들어놓는것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좋은 점은 지금 만들어놓고 3년차에 투자하면 세금혜택은 받으면서 단기간에 벌고 뺄 수도 있습니다.
'주식으로 부자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사주 세금에 대해 알아보자 (예시 3천만원어치 우리사주 구매) (3) | 2024.11.07 |
---|---|
DC제도, 퇴직연금 (퇴직금)으로 ETF 투자하기 (S&P 500) 수익 공유합니다. (0) | 2024.11.06 |
ISA 중개형 주식계좌 만들었습니다. (1) | 2024.11.02 |
주식으로 돈 벌면 세금 내야한다. 금융투자소득세 (금투세), 금융소득종합과세 알아보자 (3) | 2024.10.30 |
24년 6월 주식투자 (0) | 2024.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