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영상으로 복리투자에 대해 올렸는데요, 시청자님이 질문했습니다.
> 제가 이해안되는게 주식투자에서 어떻게 복리효과가 있는지ㅠ이거 궁금한테 유튜브다 설명이 이상해요
> 주식에서 말하는 복리가 단순히 주식가치 상승이라면 그건 10년을 가지고 있다고 나오는게 아니지않나요 복리란 단리에 이자에이자를 더한건데 시간의 비례해서 이자를 받는거잖아요 근데 주식은 시간이 지나ㅈ오르기도 하지만 수시로 변하는데요ㅠ
제가 생각하는 답변을 달아봤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복리투자입니다.
- 100만원 투자함. 한달동안 단타로 5%벌었음. 105만원이됨. 그 105만원으로 다시 5%벌기, 그걸 반복한다.
- 100만원이있음 그걸로 투자함. 투자한종목이 5프로 오름. 가만히 갖고있음. 그 종목이 또 5프로 늘음. 즉, 5%이상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종목에 투자하고 빼지않는다.
- 100만원을 투자한댜. 배당금을 받는다. 배당금을 다시 재투자한다.
복리가 아닌 투자는 100만원으로 투자하고 5프로 벌었다. 그리고 5만원은 빼고 다시 100만원으로 튜자한다. 이러면 복리가 아닙니다.
이분이 또 저에게 이런 질문을 합니다. 10년 갖고있는다고 복리냐?
저는 이 질문에 성장하는 주식을 10년갖고있었다면 복리다. 라고 말하고 싶었습니다.
S&P 500으로 예를 들면요. 2003년에 $901입니다. 이때 1주 ($901)를 샀다고 보고, 현재는 $4046입니다. 단순히 3배쯤올랐다고 말할수도 있지만, 이건 평균성장률 7.8%정도로 꾸준히 성장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복리투자 2번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만약에 배당금까지 모조리 재투자한다면 더욱 큰돈이 됐을것입니다. (요건 한번 계산해보겠습니다. 다른 포스팅으로)
제가 왜 7.8%씩 복리투자가 됐다라고 말을 하냐면요. 복리계산기에 1277만원을 연이율 7.8%짜리에 넣으면요. 20년후에
20년 가만히 있는것과 S&P 500을 사고 20년가만히 있는것이 똑같았기 때문입니다. S&P 500을 사고 20년을 가만히 있었다는건 1년 성장한것 상태에서 또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것이죠. 즉, 이자는 안받아도 성장이 복리로 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https://calc.yananbu.com (복리계산기)
이 글은 S&P 투자를 하자라는 이야기는 아니고, 꾸준히 성장할 종목에 돈을 계속 넣어서 사자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어느순간 봤을땐, 굉장히 많이 커있을걸 기대하는거죠. 감사합니다.
'주식으로 부자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거 미국 S&P 500 배당귀족, 매달 배당 예상금액, 환헤지x (0) | 2023.04.10 |
---|---|
Tiger 미국 S&P 500 배당일, 환 헤지 설명 (0) | 2023.04.07 |
항공주 US GLOBAL JETS ETF 23년 전망 및 투자계획 (0) | 2023.03.20 |
23년 하나로 글로벌 럭셔리 S&P ETF 소개 (0) | 2023.03.12 |
워렌버핏 22년 3Q 주식비율, 원칙 (0) | 2023.02.04 |